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opencv resize
- 아두이노
- 정보처리기사
- 정보처리기사후기
- ubuntu
- 아두이노 설치
- vim
- NodeMCU
- opengl
- libopencv-dev
- Winform
- opencv apt설치
- 고정ip할당
- apt update
- vi
- api사용해서 google drive에 폴더만들기
- vtk
- rotation
- 우분투 opencv 설치
- sshkey
- Python
- translation
- opencv
- c#
- esp32
- annotating
- Google Drive API
- google drive 업로드
- vim명령어
- google drive upload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74)
내가 보려고 만든 블로그
1. 프로젝트 생성 visual studio를 이용하여 신규 프로젝트를 생성한다. window Forms 앱 형식의 프로젝트 생성!(이름, 프로젝트 위치만 설정해주면 솔루션, 솔루션 이름은 자동으로 동기화된다.) *Nuget? Nuget은 마이크로 소프트에서 visual studio에 개발확장으로 공개한 무료 오픈소스 패키지관리자 프로그램으로 Linux의 apt를 본떠서 만든 것이다. Nuget을 통해 하나하나 path를 하지않고 쉽게 OpenCv환경을 만들수 있다. 2. Nuget 을 통한 OpenCvSharp설치 visual studio2019 화면 상단의 도구 > Nuget패키지관리>솔루션용 Nuget 패키지 관리 클릭한다. 3.Nuget 패키지찾기 -Nuget패키지 관리 창에서 찾아보기를 클릭한뒤..

D0하고 RST가 연결 되어있어야 슬립모드를 사용할수 있다고 한다. 이렇게 연결하고 소스코드를 실행하니깐 Hard resetting via RTS pin... 문구가 나오고 그냥 멈춰있었다. 이거 때문에 계속 다시 연결해서 해보고 소스코드도 다시 찾아보고 했는데 안되더라.. 그래서 그냥 D0에 연결 되어있던걸 D1로 옮기고 실행하니깐 한번은 실행되었다. 그다음에 실행 안되고 그냥 켜져있는 상태였다. 그래서 D1에 있던선을 다시 D0에 옮기니깐 잘 실행된다...;;; 왜 이러는건지;; 보드자체가 잘못된건지 모르겠다. 어쨌든 되긴하는데;;;;;;;;; const unsigned long sTime = 10000000; // 10초 void setup() { Serial.begin(115200); Serial..

고정ip할당이 되야 작업하기 편하니깐 고정ip를 할당했다. 앞에 했던 예제에 고정ip주소 게이트웨이 주소 서브마스크 주소를 추가했다. KT라서 KT게이트웨이주소 검색해서 넣고 함 통신사가 다르면 다르게 해야됨!!! 형광펜으로 표시한부분을 추가했다. 고정ip할당에 성공했다.

예제>ESP8266WiFi>WiFiManualWebServer클릭 STASSID옆에 와이파이 이름 STAPSK옆에 비번적기 시리얼모니터 띄우고 업로드하면 이렇게 뜸... 주소뜬곳으로 들어가서 클릭하면 nodemcu에 내장되어있는 led를 끄고 킬수 있는데 on누르면 꺼지고 off누르면 켜짐;; 그리고 랜선쓰는 컴에서 와이파이쓰는 nodemcu가 띄우는 웹으로 접속안되서 폰으로 접속했음.ㅠ 그리고 연결 제대로 됐는데 안된다고 뜰때가 있음... 그럼 그냥 뺐다가 끼우면 되긴함ㅎ

아두이노 스케치 열고 파일>환경설정을 누른다. arduino.esp8266.com/stable/package_esp8266com_index.json 이거 복사해서 추가적인 보드매니저 URLs 옆에 빈칸에 넣고 확인 툴>보드>보드매니저 클릭 esp8266치고 설치한다. 툴>esp8266>nodemcu 1.0(ESP-12E Module)클릭 예제>ESP8266>Blink 클릭 예제뜨면 아두이노 실행했던것처럼 확인버튼(왼쪽상단 체크버튼)누르고 그옆에 업로드 버튼 눌러서 확인

은근 연결하기힘들다 10개나 연결.. 1k옴 사용해야함. #define ledA 8 #define ledB 9 #define ledC 2 #define ledD 3 #define ledE 4 #define ledF 6 #define ledG 5 void setup() { //각각의 핀들을 OUTPUT으로 설정해 준다. pinMode(ledA, OUTPUT); pinMode(ledB, OUTPUT); pinMode(ledC, OUTPUT); pinMode(ledD, OUTPUT); pinMode(ledE, OUTPUT); pinMode(ledF, OUTPUT); pinMode(ledG, OUTPUT); Serial.begin(9600); //시리얼 모니터 설정. } void loop() { Serial.p..

plc할때 릴레이처럼 아두이노에도 릴레이가 있는데 동작할때 딱딱소리가난다. 반대편에 NC COM NO에 연결해서 led나 모터를 동작시킬수 있다. JQC-3FF-S-Z int sensor=2; //5v 릴레이 모듈에 연결된2(데이터핀)을 sensor변수에 저장 void setup() { pinMode(sensor,OUTPUT); //sensor출력으로 설정 } void loop() { digitalWrite(sensor,HIGH); //sensor에 HIGH(5V)신호 출력 delay(3000); digitalWrite(sensor,LOW); //sensor에 HIGH(0V)신호 출력 delay(1000); //1초 지연 }

ds1302모듈과 lcd1602를 이용해서 현재시간을 lcd로 나타나게 했다.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 LCD 1602 I2C용 라이브러리 LiquidCrystal_I2C lcd(0x27,16,2); // 접근주소: 0x3F or 0x27 // DS1302와 연결되는 아두이노 핀 번호 const int kCePin = 8; // Chip Enable const int kIoPin = 7; // Input/Output const int kSclkPin = 6; // Serial Clock // DS1302 오브젝트 생성 DS1302 rtc(kCePin, kIoPin, kSclkPin); // 요일 코드에 알맞는 문자열 출력 String dayAsString(co..